'2007/11/23'에 해당되는 글 3건
- 2007.11.23 :: 리눅스 커널 파라메터 2
- 2007.11.23 :: ASCII Code Table
- 2007.11.23 :: 한글 유니코드 값 구하는 공식
# 128M -> 8192
# 256M -> 13684
# 512M -> 32768
# 1G -> 65536
# 2G -> 131072
fs.file-max = 65535
# 동시 사용자가 몰릴 경우에 대비해 received host대한 충분한 backlog 수치를 늘려주는 것이 좋음
net.core.netdev_max_backlog=2500
# 소켓 수신 큐 최대값과 기본값 조정.
# 일반적인 경우의 대용량 Serving을 위한 설정. 기본 값이 변경되는 경우 아파치 등의 웹서버 설정을 특별히 해줄 필요는 없다고 함.
net.core.rmem_default = 65536
net.core.rmem_max = 8388608
# 소켓 출력 큐 최대값과 기본값 조정.
# 일반적인 경우의 대용량 Serving을 위한 설정으로 더 적은 시스템콜로 웹페이지를 네트웍 스택에 보낼 수 있음.
# 기본 값이 설정되는 경우 아파치 등의 웹서버 설정을 특별히 해줄 필요는 없다고 함.
net.core.wmem_default = 65536
net.core.wmem_max = 8388608
# TCP layer의 수신 버퍼를 상향 조정
# 대량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이 값을 추천.
net.ipv4.tcp_rmem = 4096 87380 8388608
# TCP layer의 송신 버퍼를 상향 조정 대량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경우에는이 값을 추천.
net.ipv4.tcp_wmem = 4096 65536 8388608
# The tcp_mem variable defines how the TCP stack should behave when it comes to memory usage.
# TCP스택이 메모리를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메모리 페이지 단위 설정.
# 순서대로 min pressure max설정이다. tcp_wmem과 tcp_rmem설정에 따른 적정한 크기를 할당한다.
# IA32는 4KB가 한 개의 페이지이다.
# ※ 이 설정 값은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.
# {min} {pressure} {max}
net.ipv4.tcp_mem = 4096 4096 4096
# 유저 파일 핸들에 할당되지 않은 커넥션에 대해 몇번을 제거 시도를 할 것인지를 정하는 파라메터.
# 하이로드의 웹서버인 경우 이 값을 7이하로 떨어뜨릴 경우 “TCP: too many of orphaned sockets”와
# “Out of socket memory”에 대한 커널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다.
net.ipv4.tcp_orphan_retries = 7
# 클라이언트의 소켓으로부터 RST을 받아 TIME_WAIT 상태로 가는 경우 즉시 소켓을 종료시킴.
# 웹서버와 같은 유형의 서버에서는 소켓을 열고 닫는 회수가 많으므로 이 쪽을 튜닝하면
# net.ipv4.tcp_max_tw_buckets 값을 줄이는 설정을 해도 됨. 파일 서버와 같은 경우는 이 값을 기본값으로 놓는 것이 좋음.
net.ipv4.tcp_rfc1337 = 1
# SPECWeb99의 권고는 인트라넷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하는 네트웍인 경우 selective acknowledgements를 off 시킴으로써 성능이 향상된
다고 함. SPECWeb99의 테스트는 완전한 1-2hop 이내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가정하였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이 부분을 on으로 해주는 좋다
는 권고.
# ※ 외부 접속을 받는 네트워크에선 on으로 해야함.
net.ipv4.tcp_sack = 1
# SPECWeb99의 권고는 인트라넷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하는 서버인 경우 timestamps 생성를 off 시킴으로써 성능이 향상됨.
# SPECWeb99의 테스트는 완전한 1-2hop 이내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가정하였으므로 일반적으로는
# 이 부분을 on으로 해주는 좋다는 권고. tcp_window_scaling 부분 참조
# ※ 외부 접속을 받는 네트워크에선 on으로 해야함
net.ipv4.tcp_timestamps = 1
# tcp_sack와 tcp_timestamps의 경우와 같은 튜닝 관점이다.
# 단, rmem, wmem과 tcp_rmem, tcp_wmem의 버퍼 상향 조정시에는
# tcp_timestamps와 함께 on 설정을 해주어 윈도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함.
net.ipv4.tcp_window_scaling = 1
# KEEPALIVE 시간을 줄이면 비정상적으로 stale된 접속을 해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.
net.ipv4.tcp_keepalive_time = 1300
# 소켓의 listen backlog 값 조정으로 동시접속이 몰릴 경우에 대한 최적화
net.ipv4.tcp_max_syn_backlog = 8192
# FIN_TIMEOUT 대기 시간을 줄이면 끊어진 소켓의 소거 시간을 줄일 수 있음.
net.ipv4.tcp_fin_timeout = 30
# 새 접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트의 사용 가능 범위를 확장.
net.ipv4.ip_local_port_range = 16384 65536
# DOS 공격 중의 하나인 SYN flooding 공격을 막아주도록 On으로 변경.
# 방화벽으로부터 보호되고 있어도 위 공격에 대한 대비책이 없다면 켜주는 것이 좋으나 성능에 영향이 있으며,
# 이 부분을 켜주는 것 보다는 tcp_
net.ipv4.tcp_syncookies = 1
# off상태면 두 네트웍 인터페이스간 IP 패킷 전달을 해제합니다.
net.ipv4.ip_forward = 0
# 웹서버와 같은 유형의 서버에서 high load에서는 사용자 소켓의 종료 진행에서
# TIME_WAIT 상태가 되는데 이 것의 양이 60초간 지속 된다는 것을 가정하고 이 값을 충분히 높여 주는 것이 좋음.
net.ipv4.tcp_max_tw_buckets = 2000000
# Linux 2.4에서 주의해야할 점.
# 주어진 경로에 대한 ssthread 값이 라우팅 테이블에 캐시되는데 이 값으로 윈도 값 설정이 감소하게 되면
# 이후 10분간의 모든 다른 커넥션에 이 값을 사용하게 되므로 웹서버등에서는 켜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.
net.ipv4.route.flush = 1
# 가상 메모리 하부 시스템의 성능 향상.
# 가상 메모리 및 버퍼 메모리 관리에 대한 성능을 높여줌.
vm.bdflush = 100 1200 128 512 15 5000 500 1884 2
# 브로드캐스브, 멀티캐스트 주소에 ICMP ECHO 요청을 막음. smurf 공격 방지용
#
net.ipv4.icmp_echo_ignore_broadcasts = 1
# SRR 옵션으로 패킷들을 수용한다. IP source routing 을 제어한다. 보통 호스트로
# 향하게 하는 것을 권장한다. TRUE (router) FALSE (host)
#
net.ipv4.conf.all.accept_source_route = 0
#net.ipv4.conf.all.send_redirects=0
#net.ipv4.conf.all.accept_redirects=0
# DOS 공격 중 하나인 IP Spoofing을 Source Route 를 검사해서 방지합니다.
# 방화벽에서 막아주거나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서버 등 공격의 우려가 없다면 끄는 것이 좋음.
# 알 수 없을 경우 on으로 설정해둡니다.
# RFC182에 따른 IP spoof 방지를위한 설정(커널 2.2이상 버전)
#
net.ipv4.conf.eth0.rp_filter = 1
net.ipv4.conf.lo.rp_filter = 1
net.ipv4.conf.default.rp_filter = 1
net.ipv4.conf.all.rp_filter = 1
# Log Spoofed Packets, source Routed Packets, Redirect packetes
# ip주소를 스푸핑한다고 예상되는 경우 로그에 기록하기
#
net.ipv4.conf.all.log_martians = 1
# 공유 메모리 최대값 조정
kernel.shmmax=3800000000
# 세마포어 최대값 조정
# 의미: {배열당 최대 SEM 수}{최대SEM시스템넓이}{SEMOP호출당최대OP수}{최대배열수}
# 공식: {최대SEM시스템넓이} = {최대 배열 수} x {배열당 최대 SEM 수} (DB2 튜닝문서에 따름)
kernel.sem=1000 32000 32 512
# 메시지큐 시스템 크기 조정
kernel.msgmni = 1024
10진수 |
16진수 |
8진수 |
2진수 |
ASCII |
10진수 |
16진수 |
8진수 |
2진수 |
ASCII |
0 |
0×00 |
000 |
0000000 |
NULL |
64 |
0×40 |
100 |
1000000 |
@ |
1 |
0×01 |
001 |
0000001 |
SOH |
65 |
0×41 |
101 |
1000001 |
A |
2 |
0×02 |
002 |
0000010 |
STX |
66 |
0×42 |
102 |
1000010 |
B |
3 |
0×03 |
003 |
0000011 |
ETX |
67 |
0×43 |
103 |
1000011 |
C |
4 |
0×04 |
004 |
0000100 |
EOT |
68 |
0×44 |
104 |
1000100 |
D |
5 |
0×05 |
005 |
0000101 |
ENQ |
69 |
0×45 |
105 |
1000101 |
E |
6 |
0×06 |
006 |
0000110 |
ACK |
70 |
0×46 |
106 |
1000110 |
F |
7 |
0×07 |
007 |
0000111 |
BEL |
71 |
0×47 |
107 |
1000111 |
G |
8 |
0×08 |
010 |
0001000 |
BS |
72 |
0×48 |
110 |
1001000 |
H |
9 |
0×09 |
011 |
0001001 |
HT |
73 |
0×49 |
111 |
1001001 |
I |
10 |
0×0A |
012 |
0001010 |
LF |
74 |
0×4A |
112 |
1001010 |
J |
11 |
0×0B |
013 |
0001011 |
VT |
75 |
0×4B |
113 |
1001011 |
K |
12 |
0×0C |
014 |
0001100 |
FF |
76 |
0×4C |
114 |
1001100 |
L |
13 |
0×0D |
015 |
0001101 |
CR |
77 |
0×4D |
115 |
1001101 |
M |
14 |
0×0E |
016 |
0001110 |
SO |
78 |
0×4E |
116 |
1001110 |
N |
15 |
0×0F |
017 |
0001111 |
SI |
79 |
0×4F |
117 |
1001111 |
O |
16 |
0×10 |
020 |
0010000 |
DLE |
80 |
0×50 |
120 |
1010000 |
P |
17 |
0×11 |
021 |
0010001 |
DC1 |
81 |
0×51 |
121 |
1010001 |
Q |
18 |
0×12 |
022 |
0010010 |
SC2 |
82 |
0×52 |
122 |
1010010 |
R |
19 |
0×13 |
023 |
0010011 |
SC3 |
83 |
0×53 |
123 |
1010011 |
S |
20 |
0×14 |
024 |
0010100 |
SC4 |
84 |
0×54 |
124 |
1010100 |
T |
21 |
0×15 |
025 |
0010101 |
NAK |
85 |
0×55 |
125 |
1010101 |
U |
22 |
0×16 |
026 |
0010110 |
SYN |
86 |
0×56 |
126 |
1010110 |
V |
23 |
0×17 |
027 |
0010111 |
ETB |
87 |
0×57 |
127 |
1010111 |
W |
24 |
0×18 |
030 |
0011000 |
CAN |
88 |
0×58 |
130 |
1011000 |
X |
25 |
0×19 |
031 |
0011001 |
EM |
89 |
0×59 |
131 |
1011001 |
Y |
26 |
0×1A |
032 |
0011010 |
SUB |
90 |
0×5A |
132 |
1011010 |
Z |
27 |
0×1B |
033 |
0011011 |
ESC |
91 |
0×5B |
133 |
1011011 |
[ |
28 |
0×1C |
034 |
0011100 |
FS |
92 |
0×5C |
134 |
1011100 |
\ |
29 |
0×1D |
035 |
0011101 |
GS |
93 |
0×5D |
135 |
1011101 |
] |
30 |
0×1E |
036 |
0011110 |
RS |
94 |
0×5E |
136 |
1011110 |
^ |
31 |
0×1F |
037 |
0011111 |
US |
95 |
0×5F |
137 |
1011111 |
_ |
32 |
0×20 |
040 |
0100000 |
SP |
96 |
0×60 |
140 |
1100000 |
. |
33 |
0×21 |
041 |
0100001 |
! |
97 |
0×61 |
141 |
1100001 |
a |
34 |
0×22 |
042 |
0100010 |
" |
98 |
0×62 |
142 |
1100010 |
b |
35 |
0×23 |
043 |
0100011 |
# |
99 |
0×63 |
143 |
1100011 |
c |
36 |
0×24 |
044 |
0100100 |
$ |
100 |
0×64 |
144 |
1100100 |
d |
37 |
0×25 |
045 |
0100101 |
% |
101 |
0×65 |
145 |
1100101 |
e |
38 |
0×26 |
046 |
0100110 |
& |
102 |
0×66 |
146 |
1100110 |
f |
39 |
0×27 |
047 |
0100111 |
' |
103 |
0×67 |
147 |
1100111 |
g |
40 |
0×28 |
050 |
0101000 |
( |
104 |
0×68 |
150 |
1101000 |
h |
41 |
0×29 |
051 |
0101001 |
) |
105 |
0×69 |
151 |
1101001 |
i |
42 |
0×2A |
052 |
0101010 |
* |
106 |
0×6A |
152 |
1101010 |
j |
43 |
0×2B |
053 |
0101011 |
+ |
107 |
0×6B |
153 |
1101011 |
k |
44 |
0×2C |
054 |
0101100 |
' |
108 |
0×6C |
154 |
1101100 |
l |
45 |
0×2D |
055 |
0101101 |
- |
109 |
0×6D |
155 |
1101101 |
m |
46 |
0×2E |
056 |
0101110 |
. |
110 |
0×6E |
156 |
1101110 |
n |
47 |
0×2F |
057 |
0101111 |
/ |
111 |
0×6F |
157 |
1101111 |
o |
48 |
0×30 |
060 |
0110000 |
0 |
112 |
0×70 |
160 |
1110000 |
p |
49 |
0×31 |
061 |
0110001 |
1 |
113 |
0×71 |
161 |
1110001 |
q |
50 |
0×32 |
062 |
0110010 |
2 |
114 |
0×72 |
162 |
1110010 |
r |
51 |
0×33 |
063 |
0110011 |
3 |
115 |
0×73 |
163 |
1110011 |
s |
52 |
0×34 |
064 |
0110100 |
4 |
116 |
0×74 |
164 |
1110100 |
t |
53 |
0×35 |
065 |
0110101 |
5 |
117 |
0×75 |
165 |
1110101 |
u |
54 |
0×36 |
066 |
0110110 |
6 |
118 |
0×76 |
166 |
1110110 |
v |
55 |
0×37 |
067 |
0110111 |
7 |
119 |
0×77 |
167 |
1110111 |
w |
56 |
0×38 |
070 |
0111000 |
8 |
120 |
0×78 |
170 |
1111000 |
x |
57 |
0×39 |
071 |
0111001 |
9 |
121 |
0×79 |
171 |
1111001 |
y |
58 |
0×3A |
072 |
0111010 |
: |
122 |
0×7A |
172 |
1111010 |
z |
59 |
0×3B |
073 |
0111011 |
; |
123 |
0×7B |
173 |
1111011 |
{ |
60 |
0×3C |
074 |
0111100 |
< |
124 |
0×7C |
174 |
1111100 |
| |
61 |
0×3D |
075 |
0111101 |
= |
125 |
0×7D |
175 |
1111101 |
} |
62 |
0×3E |
076 |
0111110 |
> |
126 |
0×7E |
176 |
1111110 |
~ |
63 |
0×3F |
077 |
0111111 |
? |
127 |
0×7F |
177 |
1111111 |
DEL |
[{(초성)×588}+{(중성)×28}+(종성)]+44032
예를 들어, ‘뷁’이라는 글자의 유니코드 값을 구한다면
- 초성은 ㅂ이므로 7,
- 중성은 ㅞ이므로 15,
- 종성은 ㄺ이므로 9가 된다.
이 값을 위 공식에 대입하면 {(7×588)+(15×28)+9}+44032가 된다. 이를 계산하면 48577이 나온다.
곧, ‘뷁’의 10진수 유니코드 값은 48577이다.
이 코드 앞에 &#을 붙이면 된다...
따라서 뷁을 쓰면 ‘뷁’을 얻을 수 있다.
원리
이 공식이 성립할 수 있는 까닭은 유니코드에 현대 한글 영역이 가나다순으로 11172글자가 쭉 배열돼 있기 때문이다.
- 끝에 44032를 더하는 까닭은 첫 번째 현대 한글 ‘가’의 코드가 44032(16진수 U+AC00)이기 때문이다.
- 초성 값에 588을 곱하는 까닭은 초성이 588(=21×28)글자마다 바뀌기 때문이다. 이때 21은 중성 개수이고 28은 종성 개수이다.
- 중성 값에 28을 곱하는 까닭은 중성이 28글자마다 바뀌기 때문이다. 이때 28은 종성 개수이다.
초성
중성
종성
직접 테이블을 보고 싶다면...